요즘 글을 작성하면서 25년 전 리눅스를 처음 들었을 때, 그리고 15년 전 PC에 리눅스를 사용하려고 try 했다가 실패했던 기억이 떠오릅니다. 지금은 Virtual Box, 라즈베리 파이, 클라우드 컴퓨터가 많이 발전하여 예전에 비해 리눅스를 접하기가 많이 쉬워졌습니다.
뿐만 아니라 리눅스의 파일을 웹상에서 바로 가져올 수 있는 정보들이 많이 open 되어 있는 점 또한 사용자가 리눅스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유 중 하나겠죠.
이번 글에서는 웹상에서 이미지를 가져오는 과정 중에 하나인 네트워크 환경 구성에 대해 작성해볼까 합니다.
더불어 혹여나 라즈베리 파이 자체를 사용하면서 필요한 한글 폰트 설치에 대해서 안내하겠습니다.
윈도우 네트워크 설정과 유사하게 라즈비안에서도 우측 상단에 네트워크 설정이 있습니다.
처음 설치 후 유선 랜이 연결되면 자동으로 잡히게 되는데 그림에서 보이는 Wired connection 1 을 클릭해서 설정 (아래 톱니바퀴 버튼) 을 눌러서 변경해도 되고, "-" 버튼으로 삭제 후 "+" 로 새로 추가하여 사용하셔도 됩니다.
"+"버튼을 누르게 되면 유선 Ethernet cable 을 연결하는지 혹은 무선 Wi-Fi 를 연결할 것인지 선택할 수 있습니다.
라즈베리파이 3B 모델 부터 Wi-Fi 를 지원하며 그 전 모델은 USB Wi-Fi 모듈을 별매하여 장착하여야 합니다.
Connection name 에는 본인이 원하는 이름으로 설정하셔도 됩니다.
단, 표기된 SSID 에는 Wi-Fi 명칭을 정확히 입력해 주셔야 합니다.
Wireless Security 탭에서 Wi-Fi의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시고요. IPv4 Settings 에서 Method 를 DHCP로 설정해 주세요.
DHCP가 IP 자동할당 이신건 다들 알고 있겠죠? 설정이 완료된 후에는 Save 버튼을 눌러 설정을 마칩니다.
라즈베리 파이 콘솔 창을 열어서 ping 8.8.8.8 입력했을 때 ping 이 제대로 되는지 확인합니다.
8.8.8.8은 google dns 입니다. 인터넷 창 열어서 확인해 보셔도 됩니다. 단, 버벅거리고 너무느려서 속터지는건 본인책임
다음으로 유선 연결 방법에 대해 소개하겠습니다.
유선은 인터넷 연결이 아닌 내부 망 ( PLC 등 기타 장비 연결용 ) 연결로 사용할 예정이며, 수동 IP로 설정하겠습니다.
무선 연결과 동일하게 구성하시되 Ethernet 선택, 그리고 IPv4 에서 Method 를 Manual 로 선택해 주시면 됩니다.
IP 주소는 원하는 IP 주소를 넣어주시고, Net Mask는 24를 넣습니다.
Gateway 는 공란으로 둡니다.
Gateway는 내부 망에서 쓰는 경우 공란으로 두고, 외부 인터넷으로 연결하는 망에 필요한 부분이라 보는 것이 좋습니다. (정확한 의미는 아니지만) 따라서 wifi는 dhcp로 게이트웨이가 잡히고, 내부망 수동 연결 시 게이트웨이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제 경험에 비추어 보아 유선 연결 고정IP에서 설정 했을 때 와이파이가 잡혀도 인터넷이 안되는 증상이 발생한 적이 있었습니다.
Net Mask는 255.255.255.0 을 넣으셔도 무관합니다.
Net Mask 24 와 255.255.255.0 은 같은 의미 입니다.
10진수로 표현된 255.255.255.0 을 2진수로 표현하면 11111111. 11111111. 11111111.00000000 이 됩니다.
여기서 1이 연속해서 24개가 있습니다. Net Mask 24의 의미는 '1이 연속해서 24개가 있다.' 입니다.
저도 네트워크에 관련하여 전문가가 아니기 때문에 아래에 참고한 링크 남겨 드립니다. (작성자 허락 요청 중 입니다.)
설정 후 최종적으로 사용하지 않는 연결은 삭제해 주시기 바랍니다.
또한 터미널을 통해 update, upgrade 권장 드립니다.
sudo apt update
sudo apt full-upgrade
라즈베리 파이 라즈비안 초기에는 비밀번호 설정을 요청할 수도 있습니다.
이 경우 sudo passwd root 한 뒤 비밀번호, 비밀번호 확인 을 통해 비밀번호를 입력합니다.
시작 -> preferences -> Raspberry Pi Configuration 으로 들어간다.
Localisation -> Set Locale..
Language -> ko (Korean)
Character Set -> UTF-8
붉은색 테두리 박스가 기존 설정 입니다.
Set Keyboard
Layout -> Korean
Variant -> Korean
붉은색 테두리 박스가 기존 설정 입니다. 설정 ok 후 재부팅을 요청할 수도 있습니다.
재부팅 한 뒤 글자가 깨져있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당황하지 말고 커멘드 창에서 아래와 같은 명령이 필요합니다.
sudo apt-get install fonts-nanum
설치 후 sudo reboot 가 필요합니다.
여기까지 Raspberry Pi Network와 한글 셋팅에 대해 소개했습니다.
다음장에서는 Window PC에서 Raspberry Pi 접속하는 Pi Connect 와 터미널로 접속하는 방법에 대해 소개하겠습니다.
[Raspberry PI] Sensor to DB #5 Docker 설치 (0) | 2025.09.15 |
---|---|
[Raspberry PI] Sensor to DB #4 Pi Connect, SSH 연결 (0) | 2025.09.15 |
[Raspberry PI] Sensor to DB #2 Raspberry Pi OS 설치 (0) | 2025.09.12 |
[Raspberry PI] Sensor to DB #1 개요 (0) | 2025.09.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