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Raspberry PI] Sensor to DB #4 Pi Connect, SSH 연결

Sensor To DB

by 메튜킴 2025. 9. 15. 14:44

본문

이번 글에서는 Pi Connect와 SSH 연결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Pi Connect 는 리눅스 중수, 고수 분들은 그다지 관심 없으실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저 같은 초심자나 입문 단계에서는 한번쯤 다뤄보고 가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Pi Connect

과거에 리눅스를 알고계신 분들이나 저 같은 경우에 리눅스는 대부분 명령 프롬프트를 다루는 콘솔 창 같은 느낌이었습니다.

윈도우에 너무 익숙해 진 탓도 있고, Linux 명령어를 그닥 많이 알고있지 못한 탓도 있지만 어렵게 느껴졌죠.

또한 잘못 건드렸을 때 어떻게 원복해야 되는지, OS 싹 밀고 재설치는 용이한 것인지도 한 몫 했던 것 같습니다.

지금은 앞서 올린 글 들을 따라서 1~2시간 투자하면 원복할 수 있기에 쉬워진 것도 있지만 또 하나, UI 창으로 인해 긴장감이 덜해진 것도 있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책상위에 윈도우용 모니터, 키보드 따로, 라즈베리파이용 모니터, 키보드 따로 두기에는 부담스러운 감이 있습니다.

여기서는 인터넷을 통해 라즈베리 파이를 web browser로 제어하는 Pi Connect에 대해 소개하겠습니다.

Turn On Raspberry Pi Connect 합니다. 그 뒤 Sign In.. 합니다.

계정을 하나 만들고 로그인 합니다. 저는 Google 계정으로 진행했고, google authenticator 앱을 통해서 진행했습니다.

휴대폰으로 QR코드를 스캔하여 연동시킨 뒤 6자리 코드를 입력하게 됩니다.

연동 한 뒤로 window에서 browser 창을 연 뒤 https://connect.raspberrypi.com/devices 접속합니다.

Connect via 를 클릭하신 뒤 Screen sharing 을 클릭하시면 

윈도우 OS PC에서 라즈베리 파이 UI로 접속할 수 있습니다.

 

1. 유용한가?

  100% 만족은 아니지만 나름 쓸만하다고 생각합니다.

2. 100%가 아닌 이유는?

  너무 느리고 버벅거려서 불편합니다.

3. 그럼에도 소개한 이유는?

  모니터, 키보드, 마우스 자리 없애고, 현대의 인터넷 속도에 대한 한계점을 고려할 때 충분히 유용하다고 생각합니다.

4. 많이 쓰일까요?

  많이 쓰이진 않겠죠, 그 이유는 아래 SSH를 통해 알아보겠습니다.

 

SSH

SSH(Secure Shell)는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컴퓨터에 안전하게 접속하고 명령을 실행하며 파일을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프로토콜 및 응용 프로그램 입니다. 포트 22번을 사용합니다.
UI로 보면 더 편리하고 좋은데 왜 SSH 로 사용할까요?

다양한 이유가 있겠지만, 저는 개인적으로 아래와 같은 이유가 작용한다고 생각합니다.

(매우 개인적이기 때문에 틀릴수도 있습니다.)

 

1. 비용

 리눅스 대부분의 프로그램은 open 되어 있으며, 무료로 제공되고 있습니다. 심지어 리눅스 OS자체도 무료로 배포하고 있죠.

 이런한 상황에서 UI에 관련된 frontend 엔지니어까지 달려들어 진행시킬 필요가 있나? 하는 의문이 들게 됩니다.

2. 속도

 UI는 사람이 보기 편안한 상태로 만들어 주지만 반면에 컴퓨터 입장에서는 계속해서 사람에게 보기 편안한 그림으로 표현하는 부담이 되게 됩니다. 유저 입장에서는 보기 힘들고 어렵지만 컴퓨터 입장에서는 최적화 되어 있고, 효율적인 방법이 커멘드 창으로 명령을 주고받는 일 일 수 있습니다. 마치 우리는 10진수가 편하지만 컴퓨터는 2진수가 편한 것 처럼 말입니다.

 

제가 앞으로 다룰 내용들은 유저대 유저의 컴퓨터 활용이 아닌 컴퓨터 대 컴퓨터 의 내용이 될 것 같기에 향후 진행되는 내용들은 SSH로 많이 표현할 것 같습니다.

 

아래에서는 SSH의 가장 기본이 되는 putty 와 제가 사용하는 mobaXterm 에 대해 간단히 소개하고 접속하는 법 까지 알아보겠습니다.

https://www.chiark.greenend.org.uk/~sgtatham/putty/latest.html

 

Download PuTTY: latest release (0.83)

This page contains download links for the latest released version of PuTTY. Currently this is 0.83, released on 2025-02-08. When new releases come out, this page will update to contain the latest, so this is a good page to bookmark or link to. Alternativel

www.chiark.greenend.org.uk

putty 는 위 링크를 타고 받을 수 있습니다.

설치하여 사용하는 *.msi 파일이 있고, 설치가 필요 없는 .exe 파일이 있습니다. 실행 후 동일 네트워크 대역에서 IP 주소를 치고 들어가면 됩니다.

IP 주소 192.168.1.119 접속 후 login, password 입력을 마친 형태

 

mobaXterm 을 통해 접속하는 방법도 동일합니다.

https://mobaxterm.mobatek.net/download.html

 

MobaXterm free Xserver and tabbed SSH client for Windows

The ultimate toolbox for remote computing - includes X server, enhanced SSH client and much more!

mobaxterm.mobatek.net

download -> home edition -> download now 하면 putty 와 마찬가지로 설치판과 무설치판이 있습니다.

저는 무설치판을 쓰는데 아직까지 차이를 잘 모르겠습니다.

실행 후 Session -> SSH -> remote host에 IP 주소 입력 후 OK 합니다.

마찬가지로 login, password 입력하면 접속됩니다.

 

  • putty 말고 mobaXterm 을 사용하는 이유가 있나요?
    • 색깔을 통해 시안성을 더 좋게 해 줍니다.
    • 좌측에 windows 탐색기 처럼 위치 관련하여 편의성이 있습니다.
    • 원래 window PC 와 Linux 사이 파일 전송을 위해서 ftp 서버를 별도로 이용해야 되는데 내재되어 있어 편리합니다.

여기까지 SSH 를 통한 Raspberry Pi 접속에 대해 소개하였습니다.

다음 장 부터 본격적으로 Docker 를 통해 프로그램들을 설치 하고 다뤄보겠습니다.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