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상 Docker 설치 라고 글을 시작 했지만 아직도 Docker가 뭔지 설명 하라고 하면 저도 애매합니다.
사용한지 얼마 되진 않았으니까요.
도커에 대한 공식적인 이미지는 위와 같지만 저는 이해를 돕고자 아래와 같은 이미지를 만들어 봤습니다.
제가 처음 Docker를 다뤄보면서 착각했던 가장 큰 부분은 도커는 컨테이너화 된 프로그램들을 실행시키고 정지시키는 도구(프로그램 일 수도 있고) 라는 것 입니다. 명령어도 docker ps, docker run 이런식으로 해서 헷갈립니다. 부디 docker 다루시는 분들은 저와같은 착각을 하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docker 시작하시는 어떤 분들은 위와 같은 질문을 할 수도 있습니다.
docker랑 VM이랑 차이가 뭔가요?
저도 정확한 차이는 명료하게 설명할 순 없지만 VM은 가상의 PC를 돌리는 느낌이라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가상의 PC여서 OS 도 필요할 것이고요. 그러다 보니 자연스럽게 더 무거워 질 수 밖에 없습니다.
docker는 container 하나 하나를 개별 관리하기 때문에 하나가 다운된다고 다른 컨테이너에 영향을 줄 수 없습니다. 그리고 재시작도 용이하고요. 정확한 설명은 직접 찾아보시기 바랍니다.
아무튼 초보자가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자면 아래와 같습니다.
https://recipes4dev.tistory.com/175
리눅스 chmod 명령어 사용법. (Linux chmod command) - 리눅스 파일 권한 변경.
1. 리눅스 파일 사용 권한 리눅스에서, 파일(File)을 사용해 할 수 있는 작업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파일에 저장된 데이터를 읽기. (r = read). 파일에 데이터를 쓰기. (w = write). 파일 실
recipes4dev.tistory.com
docker 설치 후 꼭 재부팅 해 주시기 바랍니다. (재부팅 안하고 오동작하면 본인 책임 ^^)
다음 글에서는 Portainer 라는 container 를 설치하고 Portainer 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겠습니다.
[Raspberry PI] Sensor to DB #4 Pi Connect, SSH 연결 (0) | 2025.09.15 |
---|---|
[Raspberry PI] Sensor to DB #3 Raspberry Pi Network, 한글폰트 (0) | 2025.09.15 |
[Raspberry PI] Sensor to DB #2 Raspberry Pi OS 설치 (0) | 2025.09.12 |
[Raspberry PI] Sensor to DB #1 개요 (0) | 2025.09.12 |